기회가 열리는 곳,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
투자의 최적지를 찾으신다면, 결론은 GFEZ 입니다.
❑ 전라남도는 3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에서 이낙연 도지사와 이희봉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장, 여수․순천․광양시장, ㈜재생산업 등 9개 기업 대표와 함께 1천63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맺었다. 이에 따른 고용 규모는 931명에 달한다.
❑ 이날 투자협약에 따라
❍ (주)재생산업은 여수 화양지구에 300억 원을 투입해 21만 4천㎡의 부지에 승마시설, 경주마 사육, 체험펜션 등 복합적인 승마타운을 조성한다.
❍ (주)메가박스 순천신대점은 신대지구에 60억 원을 들여 3천300㎡ 부지에 영화 관련 부대시설을 확충, 입주민의 문화적 수요를 충족시킬 예정이다.
❍ (주)탑선은 율촌산단에 500억 원을 들여 7만 7천293㎡ 부지에 태양광모듈을 제조하는 첨단시설을 완비, 국내 판매와 해외 수출에 나선다.
❍ (주)바이오소재는 세풍산단에 300억 원을 투입해 9만 9천㎡ 부지에 친환경 제품으로 각광받는 바이오소재 및 패키징 제품을 생산한다.
❍ KB오토시스(주)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 율촌자유무역지역 1만 6천500㎡ 부지에 100억 원을 투자하고,
❍ 조립식 제어센터를 제조하는 (주)협성히스코가 130억 원, 준설장비를 제조하는 ㈜백건준설이 42억 원을 투자한다.
❍ (주)피앤피로직스는 광양항 배후단지에 100억 원을 투자해 화물운송과 창고업을, (주)대흥석재는 광양항 배후단지에 100억 원을 투자해 석재유통 물류창고를 운영, 광양항의 물동량 확보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.
❑ 이 지사는 “많은 고심 끝에 전남에 투자를 결정한 것에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”며 “투자를 결정한 모든 기업들에 부지 매입부터 공장 가동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행정적 지원을 해 성공적인 기업으로 뿌리내리도록 하겠다”고 말했다.
❑ 한편 이번 투자협약은 스포츠 레저분야 2개사, 물류분야 2개사, 제조업분야 5개사로
❍ 급증하는 국내 승마인구와 중국인 관광객을 흡수하기 위해 말산업 확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, 정체된 여수 화양지구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.
❍ 또 광양항의 물동량 확보를 통해 활성화를 도모하고,
❍ 친환경 신기술을 활용한 신제품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조성 중인 세풍산단의 완공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
❑ 특히 투자협약 5개 기업은 본사가 수도권, 충남, 영남에 소재한 기업으로, 광양만권에 투자를 결정해 이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유치 홍보활동이 점차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.
❑ 또한 931명에 달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의 인재를 흡수함으로써 ‘청년이 돌아오는 전남’ 조기 실현에 기여할 전망이다.